[React] Hook의 동작 원리 이해하기

December 19, 2021

react

React Hook은 어떤 방식으로 동작할까? Hook을 간단히 구현해보며 동작 방식을 이해해보자.

JSconf 2019, Shawn Wang의 영상을 참고하여 작성한 글입니다.


📌 Contents

  1. 클로저란?
  2. useState 구현하기
  3. 컴포넌트에서 Hook 사용하기
  4. Hook을 여러번 사용하기
  5. 조건문 안에서의 Hook
  6. useEffect 구현하기


클로저란?


W3Schools 에서는 클로저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Closure makes it possible for a function to have 'private' variables."


먼저 간단한 예시를 살펴보자.

let foo = 1;
function add() {
  foo += 1;
  return foo;
}

console.log(add()); //2
console.log(add()); //3

이 예시는 foo 변수가 글로벌 스코프를 가지므로 중간에 다른값을 할당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console.log(add()); //2
console.log(add()); //3
foo = 999;console.log(add()); //1000
console.log(add()); //1001

함수안으로 스코프를 옮기고 함수 내부에서 함수를 리턴하도록 변경해보자. 이렇게 바꾸면 글로벌 스코프를 가지지 않으면서 처음 예시처럼 동작한다. 또한 중간에 foo 변수를 건드릴 수도 없다.

function getAdd() {
  let foo = 1;
  return function () {
    foo += 1;
    return foo;
  };
}

const add = getAdd();

console.log(add()); //2
console.log(add()); //3
foo = 777; // ReferenceError: foo is not defined

이것이 클로저다. 아무도 foo 변수에 접근할 수 없지만 add 는 실행될때마다 접근할 수 있다.

또는 모듈 패턴을 이용하여 아래 처럼 변경할 수도 있다.

const add = (function getAdd() {
  let foo = 1;
  return function () {
    foo += 1;
    return foo;
  };
})();

console.log(add()); //2
console.log(add()); //3

useState 구현하기


위의 예시를 이용해서 useState 를 만들어보자. stategetter 함수로 만들고, count 함수 값을 호출해서 값을 얻을 수 있다.

function useState(initialVal) {
  let _val = initialVal;
  const state = () => _val;
  const setState = (newVal) => {
    _val = newVal;
  };

  return [state, setState];
}

const [count, setCount] = useState(1);

console.log(count()); //1
setCount(2);
console.log(count()); //2

컴포넌트에서 Hook 사용하기


리액트에서는 위와같이 함수로 호출하지 않고 변수로 사용하므로 useState 함수를 변경해보자. 먼저 hook을 React 모듈 안으로 넣는다. 이렇게 하면 ReactuseState 객체를 반환하므로 사용법이 React.useState로 달라진다.

const React = (function () {
  function useState(initialVal) {
    let _val = initialVal;
    const state = () => _val;
    const setState = (newVal) => {
      _val = newVal;
    };

    return [state, setState];
  }

  return { useState };
})();

const [count, setCount] = React.useState(1); 
console.log(count()); //1
setCount(2);
console.log(count()); //2

그리고 안에 훅을 넣은 함수인 Component 를 만든다.

function Component() {
  const [count, setCount] = React.useState(1);

  return {
    render: () => console.log(count),
    click: () => setCount(count + 1),
  };
}

이제 React 에게 어떻게 컴포넌트를 render 할것인지 가르쳐줘야 한다. 따라서 Component 를 받는 render 함수를 추가한다. Component 는 함수이므로 호출할 수 있다. 그리고 객체를 리턴하므로 마찬가지로 render 도 호출할 수 있다.

const React = (function () {
  function useState(initialVal) {
    let _val = initialVal;
    const state = () => _val;
    const setState = (newVal) => {
      _val = newVal;
    };

    return [state, setState];
  }

  function render(Component) {    const C = Component();    C.render();    return C;  }
  return { useState, render };
})();
function Component() {
  const [count, setCount] = React.useState(1);

  return {
    render: () => console.log(count),
    click: () => setCount(count + 1),
  };
}

var App = React.render(Component); // ƒ state() {}
App.click();
var App = React.render(Component); // ƒ state() {}

문제점 개선

지금은 콘솔에 state 함수가 찍히므로 _val 를 위로 끌어올리고 getter 함수를 제거하면 잘 동작한다.

const React = (function () {
  let _val;  function useState(initialVal) {
    const state = _val || initialVal;    const setState = (newVal) => {
      _val = newVal;
    };

    return [state, setState];
  }

  //...
})();

var App = React.render(Component); // 1
App.click();
var App = React.render(Component); // 2

Hook을 여러번 사용하기


그런데 위의 예시는 훅을 여러개 가진다면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다.

function Component() {
  const [count, setCount] = React.useState(1);  const [text, setText] = React.useState("apple"); 
  return {
    render: () => console.log({ count, text }),
    click: () => setCount(count + 1),
    type: (word) => setText(word),
  };
}

var App = React.render(Component); // {count: 1, text: "apple"}
App.click();
var App = React.render(Component); // {count: 2, text: 2} 🥲
App.type("orange");
var App = React.render(Component); // {count: "orange", text: "orange"} 🥲

문제점 개선 1

지금은 _val 라는 하나의 변수만 가지고 있고 계속 값을 덮어쓰기 때문이다. 따라서 배열과 인덱스를 이용하여 변경하자.

const React = (function () {
  let hooks = [];  let idx = 0;
  function useState(initialVal) {
    const state = hooks[idx] || initialVal;
    const setState = (newVal) => {
      hooks[idx] = newVal;
    };

    idx++; // 다음 훅을 받을 수 있게 인덱스 증가    return [state, setState];
  }

  function render(Component) {
    const C = Component();
    C.render();
    return C;
  }

  return { useState, render };
})();

function Component() {
  const [count, setCount] = React.useState(1);
  const [text, setText] = React.useState("apple");

  return {
    render: () => console.log({ count, text }),
    click: () => setCount(count + 1),
    type: (word) => setText(word),
  };
}

var App = React.render(Component); // {count: 1, text: "apple"}
App.click();
var App = React.render(Component); // {count: 2, text: "apple"}
App.type("orange");
var App = React.render(Component); // {count: "orange", text: "apple"} 🥲

문제점 개선 2

이번에는 click 은 잘 동작하지만 textorange 로 변경하면 countorange 로 바뀌어 버린다. App 컴포넌트가 render 되면 useState 함수를 호출하고, 그때마다 계속해서 index 가 증가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render 될때마다 hook의 index0으로 초기화한다.

const React = (function () {
  let hooks = [];
  let idx = 0;

  function useState(initialVal) {
    const state = hooks[idx] || initialVal;
    const setState = (newVal) => {
      hooks[idx] = newVal;
    };

    idx++;
    return [state, setState];
  }

  function render(Component) {
    idx = 0;    const C = Component();
    C.render();
    return C;
  }

  return { useState, render };
})();

function Component() {
  const [count, setCount] = React.useState(1);
  const [text, setText] = React.useState("apple");

  return {
    render: () => console.log({ count, text }),
    click: () => setCount(count + 1),
    type: (word) => setText(word),
  };
}

var App = React.render(Component); // { count: 1, text: 'apple' }
App.click();
var App = React.render(Component); // { count: 1, text: 'apple' } 🥲
App.click();
var App = React.render(Component); // { count: 1, text: 'apple' } 🥲
App.type("orange");
var App = React.render(Component); // { count: 1, text: 'apple' } 🥲
App.type("peach");
var App = React.render(Component); // { count: 1, text: 'apple' } 🥲

문제점 개선 3

그러면 상태가 바뀌지 않는데, render 된 후에 useState 가 호출되므로 증가된 index 의 값에 저장이 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hooks 배열을 살펴보면 첫번째, 두번째 인자는 비어있고 세번째 인자에 setState 값이 저장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계속 상태가 변하지 않은채로 계속 출력된것이다.

const React = (function () {
  let hooks = [];
  let idx = 0;

  function useState(initialVal) {
    const state = hooks[idx] || initialVal;
    const setState = (newVal) => {
      hooks[idx] = newVal;
      console.log(hooks); 
    };

    idx++;
    return [state, setState];
  }

  //...
})();

// { count: 1, text: 'apple' }
// [ <2 empty items>, 2 ]
// { count: 1, text: 'apple' }
// [ <2 empty items>, 2 ]
// { count: 1, text: 'apple' }
// [ <2 empty items>, 'orange' ]
// { count: 1, text: 'apple' }
// [ <2 empty items>, 'peach' ]
// { count: 1, text: 'apple' }

따라서 이걸 고치려면 setState 안의 indexuseState 에 의해서 변하지 않게 freeze 한다. 이렇게 하면 useState 가 호출된 순간 _idx를 사용하고,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const React = (function () {
  let hooks = [];
  let idx = 0;

  function useState(initialVal) {
    const state = hooks[idx] || initialVal;
    const _idx = idx;     const setState = (newVal) => {
      hooks[_idx] = newVal;     };

    idx++;
    return [state, setState];
  }

  function render(Component) {
    idx = 0; 
    const C = Component();
    C.render();
    return C;
  }

  return { useState, render };
})();

function Component() {
  const [count, setCount] = React.useState(1);
  const [text, setText] = React.useState("apple");

  return {
    render: () => console.log({ count, text }),
    click: () => setCount(count + 1),
    type: (word) => setText(word),
  };
}

var App = React.render(Component); // { count: 1, text: 'apple' }
App.click();
var App = React.render(Component); // { count: 2, text: 'apple' } 😀
App.click();
var App = React.render(Component); // { count: 3, text: 'apple' } 😀
App.type("orange");
var App = React.render(Component); // { count: 3, text: 'orange' } 😀
App.type("peach");
var App = React.render(Component); // { count: 3, text: 'peach' } 😀

조건문 내에서의 Hook


리액트 공식 문서에서는 반복문, 조건문, 중첩된 함수 내에서 Hook을 호출하면 안된다고 적혀있다. 이 규칙을 따라야 컴포넌트가 렌더링 될 때마다 동일한 순서로 Hook이 호출되는 것이 보장되기 때문이다.

만약 아래처럼 조건문 안에 useState 를 넣는다면 두번째 Hook의 index1이어야 하지만, 조건에 따라 첫번째 Hook이 실행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index0이 될 수도 있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순서가 보장되지 않으므로 아래와 같이 사용해서는 안 된다.

function Component() {
  if (Math.random() > 0.5) {
    const [count, setCount] = React.useState(1); // ❌
  }

  const [text, setText] = React.useState("apple");

  return {
    //...
  };
}

useEffect 구현하기


이번에는 useEffect 를 만들어보자. useEffect Hook은 콜백과 dependency 배열을 받는다. 먼저 변수 hasChanged 를 이용하여 변경되었는지 아닌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dependency 가 변경되면 콜백을 실행한다.

그다음 변화를 감지하려면 old dependenciesnew dependencies 의 차이가 필요하므로 dependencies 를 저장해야한다. 따라서 호출되고 나면 hooks 배열안에 저장한다. 그 이후에는 oldDeps 가 존재하면 newArray 와 비교하는 작업을 통해 hasChanged 를 변경한다.

const React = (function () {
  let hooks = [];
  let idx = 0;

  function useState(initialValue) {
    //...
  }

  function render(Component) {
    //...
  }

  function useEffect(cb, depArray) {
    const oldDeps = hooks[idx];
    let hasChanged = true; // default

    if (oldDeps) {
      hasChanged = depArray.some((dep, i) => !Object.is(dep, oldDeps[i]));
    }

    // 변경을 감지
    if (hasChanged) {
      cb();
    }

    hooks[idx] = depArray;
    idx++;
  }

  return { useState, render, useEffect };
})();

배열에 따른 결과 확인

이제 useEffect 를 사용해보자. 두번째 인자에 빈 배열을 넣으면 처음에만 실행된다.

function Component() {
  const [count, setCount] = React.useState(1);
  const [text, setText] = React.useState("apple");

  React.useEffect(() => {    console.log("--- 실행됨! ---");  }, []);
  return {
    render: () => console.log({ count, text }),
    click: () => setCount(count + 1),
    type: (word) => setText(word),
  };
}

var App = React.render(Component);
App.click();
var App = React.render(Component);
App.type("orange");
var App = React.render(Component);

// --- 실행됨! ---
// { count: 1, text: 'apple' }
// { count: 2, text: 'apple' }
// { count: 2, text: 'orange' }

이제 배열에 count 를 넣는다면, count 가 업데이트 될때 실행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물론 text 를 넣어도 마찬가지로 text 가 업데이트 될때 실행된다.

function Component() {
  const [count, setCount] = React.useState(1);
  const [text, setText] = React.useState("apple");

  React.useEffect(() => {
    console.log("--- 실행됨! ---");
  }, [count]);  
  return {
    //...
  };
}

var App = React.render(Component);
App.click();
var App = React.render(Component);
App.type("orange");
var App = React.render(Component);

// --- 실행됨! ---
// { count: 1, text: 'apple' }
// --- 실행됨! ---
// { count: 2, text: 'apple' }
// { count: 2, text: 'orange' }

만약 배열을 제거한다면 매번 실행될 것이다.

function Component() {
  const [count, setCount] = React.useState(1);
  const [text, setText] = React.useState("apple");

  React.useEffect(() => {
    console.log("--- 실행됨! ---");
  });

  return {
    //...
  };
}

var App = React.render(Component);
App.click();
var App = React.render(Component);
App.type("orange");
var App = React.render(Component);

// --- 실행됨! ---
// { count: 1, text: 'apple' }
// --- 실행됨! ---
// { count: 2, text: 'apple' }
// --- 실행됨! ---
// { count: 2, text: 'orange' }

Object.is 와 ===

위의 예시에서 비교를 위해 사용한 Object.is는 첫번째 인자와 두번째 인자가 같은지를 판정하는 메서드인데, 비교 연산자 ===와 달리 NaN-0, 0 비교가 가능하다.

NaN === NaN; // false
Object.is(NaN, NaN); // true

0 === -0; // true
Object.is(0, -0); // false

이렇게 클로저 개념을 이용하여 간단히 useState, useEffect를 구현해보면서, 리액트 훅이 어떤 원리로 작동되는지 대략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더 자세한 설명은 아래 링크의 영상에서 볼 수 있다.


Reference


Profile picture

Written by Inkyo

Frond-End Developer
Github
Loading script...
© 2024 INKYO JEONG. All rights reserved.